|
저작권 : 제 C-2014-029510호 및 제 C-2015-018493호 |
||||||||||||||||||||||||||||||||||||||||||||||||||||||||||||||||||||||||||||||||||||||
|
奈乙 김 성혁
많은 사람들은 통설이나 정설이라고 하는 것에 많은 신뢰를 주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처럼 정설이라고 치부한 지명학자들의 논저에는 많은 허점을 드러내어 보이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21) 울주군 서생면 일대 : 신라 생서량군(生西良郡) → 날셔곶 (날션곶)
울주군 서생면 일대는 진하해수욕장과 소위 「모세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명선도 앞길이 있는 곳이다. 진하해수욕장과 명선도 앞의 모랫길은 칼날이 선 것과 같은 날카로운 지형을 만들었다. 이 곳의 옛 신라의 지명은 「생서량군(生西良郡) → 날셔곶 (날선곶)」이라 불렀다. 문제는 신라 생서량군(生西良郡)을 지명학자들이 제대로 해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생서량군(生西良郡) 어느 것이 훈차인지, 어느것이 음차인지를 파악하지를 못한 것이다. 그 까닭은 「삼국의 지명을 해석」하는 데에 어떠한 기준이 없었기 때문인데, 삼국인은 슬기롭게도 「지형이라는 그림」을 그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음에랴.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왕 17년 조에 우오(于烏)가 목출도 앞에서 왜적을 무찌른 기록이 나온다. 흔히 목출도를 부산 앞바다에 있는 영도 정도로 보고 있다. AD57년에 신라가 부산앞바다「영도」까지 진출했다? 아닐 것이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앞바다라면 모를까. 필자는 당시의「상황과 고지명 및 지형」으로 풀어 보았다. 목출도(木出 島)는 율주군 서생포 앞바다에 있는 명선도를 의미한다. 서생포는 임진왜란 당시에도 가등청정의 부대가 상륙하여, 서생포 왜성을 쌓은 곳이다. 고대에도 울산광역시 일대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곳이었다.
㉠ 生 : 날 生 → 훈음차 ; 날(刃) 西 : 셔 → 음차 ; 셔 (셔다) 良 : 곧을(곧다) 량 → 훈음차 ; 곶(串) ∴ 生西良 : 날셔곶 {현대어 : 날선곶}
㉡ 木 : 목 → 음차 ; 음차 ; 목(neck) 出 : 날 출 → 훈음차 ; 날(刃) 島 : 셤 도 → 훈차 ; 셤 ∴ 木出 島 ; 목날셤 {현대어 : 목에 날이 나와 있는 섬}
날 刃(인)자 전서(篆書)
22) 강원도 인제군 일대 : 고구려 저족현(猪足縣) → 돋발골
강원도 인제군은 소양강이 만든 「그림」은 소위 「족발」이다. 이 「그림」을 보고 고구려는 「저족현(猪足縣) → 돋발골」이라 작명했다. 이 인제군을 일운 오사회(烏斯回) 라 했는데, 「족발」은 소양강이 만든 지형이므로, 「거먹이돌(현대어 : 꺼먹돼지도랑)」로 해석했다. 「거먹이돌」은 인제군청 일대를 흐르는 소양강을 의미한다.「돌」의 지명어에는 「양(梁)」「석(石)」「회(回)」「회(廻)」「진(珍)」등이 있다. 이는 고구려어에 「돌다」「돌」라는 말이 있음을 의미한다.
㉠ 猪 : 돋 뎨 → 훈차 ; 돋 足 : 발 죡 → 훈차 ; 발 ∴ 猪足縣 : 돋발골
㉡ 烏 : 가마괴 오 → 훈음차 ; 거먹(가막) 斯 : 이 사 → 훈음차 ; 이(것) 回 : 돌 회 → 훈음차 ; 돌 ∴ 烏斯回 : 거먹이돌(현대어 : 꺼먹돼지도랑)
꺼먹돼지 캐릭터와 발 足(족)자 갑골문
23) 고조선의 국호는 조선(朝鮮) : → 아침忽{현대어 : 아침골}
고조선의 국호는 조선(朝鮮)인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조선(朝鮮)과 고구려(高句麗)의 공통점이 한가지 있다. 국호 끝에 붙는 글자의 훈이「곱다」라고 똑같다는 점이다. 이 당시 훈이 「고을 鮮」과「고를 麗」였다고 가정했을 때, 「고을」을 연음으로 읽으면 「골」이 된다. 이는 현대어 「골」의 훈음차인데, 고구려는 「홀(忽)」로 표기를 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ㆍ」가 지원되지 않으므로 「ㅇㅏ ㅊㆍㅁ」을 「아침」으로 표기 한다. 이하 동일하다.)
㉠ 朝 : 아침 됴 → 훈차 ; 아침. (연음) 鮮 : 고을 션 → 훈음차 ; 고을 --------------→ 골 → 홀(忽) ∴ 朝鮮 : 아침忽
㉡ 句 : 귀 → 음차 ; 귀 (연음) 麗 : 고을 려 → 훈음차 ; 고을 --------------→ 골 → 홀(忽) ∴ 句麗 : 귀忽
24)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일대 : 백제 마돌현(馬突縣) → 말(귀)돌골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8번지에는 한국 명산중 하나인 마이산(馬耳山)이 우뚝 솟아 있다. 이 「말귀」모양의 돌을 보고, 백제인은 「마돌현(馬突縣) → 말(귀)돌골」이라 작명했다. 마돌(馬突)은 마이산「그림」으로 판단하면, 「말귀돌」에서 「귀」가 생략된 형태이다. 그런데 일부 지명학자는 「말」이「크다」는 뜻이 있고, 「돌(突)」을 지명어 「돌(현대어 : 도랑)」으로 잘못 판단하여, 진안군 마령면에 있는 백제 마돌현(馬突縣)을 「큰돌」이나「큰들」로 해석해 놓아서 움직일 수 없는 정설이 되었다.
신라 경덕왕은 마돌현(馬突縣)을 마령현(馬靈縣)으로 개칭했고, 고려시대에는 이 곳의 산을 마이산으로 불렀고, 오늘에 이르렀다. 이 산악지대를 「큰도랑」이나「큰들」로 해석한다는 것은 「지형. 지물」을 본적이 없는 언어학자의 「언어적 유희」에 불과한 것이다. 더욱 이상한 것은 진안군 마령면에 있는 마이산은 수많은 지명학자들이 가 보았을텐데, 어느 누구하나 반론을 제기하는 학자가 없다는 것이다. 진안군 마령면에는 삼국사기에 실릴 정도의 「큰들」이나「큰돌(도랑)」이 없다. 그들은 현란한 언어학적인 술수로, 뭇 사람을 기만하고 있다.
馬 : 말 마 → 훈차 ; 말 突 : 돌 → 음차 ; 돌 ∴ 馬突縣 : 말(귀)돌골 (현대어 : 말귀돌골)
말 캐릭터와 「말 馬(마)」자 갑골문
25) 전라남도 완도군 돌산읍일대 : 백제 돌산현(突山縣) → 돌山골
전라남도 완도군 돌산읍일대 남해안은 수심이 40~50m 정도로 얕은 바다이다. 지난 5~6만년전에는 이 바다가 넓은 들판이었다. 이 시기는 빙하시대로 바다가 지금보다 100여m 정도가 낮았다. 이 시기에는 한려수도 일대는 넓은 평야지대였고, 지금의 섬은 얕은 산의 중턱과 봉우리였다. 1만2천년전부터 빙하기가 끝나감에 따라 돌산섬은 「돌山」의 중턱까지 물이차게되어 섬이 된 것이다. 이러한 산의 중턱에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록될 정도의「들」이나「돌(도랑)」있다면 이상한 것이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백제 돌산현(突山縣)을 「돌(도랑)+山」이나「들+山」의 형태라는 것이다. 과연 그들은 돌산도를 가 보기나 한 것인가?
突 : 돌 → 음차 ; 돌(石) 山 : 산 → 음차 ; 山 ∴ 突山縣 : 돌山골.
26) 전라남도 진도군 : 백제 인진도군(因珍島郡) → 좇을돌골(쫓을돌골)
전라남도 진도군에는 유명한 「돌」이 있다. 이름하여 「명량(鳴梁)」으로 부르는 「울돌」이다. 이곳은 폭이 좁아 물살이 매우 세기 때문에, 마치 물이 우는 것 처럼 여겨, 울돌목이라한 것인데, 이를 한자화한 것이 「명량(鳴梁)」이다. 이 명량이라는 「돌」로 인하여 백제는 「인진도군(因珍島郡) → 조츨돌골(쫓을돌골)」이라 작명하였다. 울돌목으로 인하여 사람이 섬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쫓는 섬」아라는 뜻이다. 「인(因)」과「잉(仍)」이 삼국의 지명에 쓰인 것은 모두 지명어로「좇다」로 쓰였다.
因 : 조츨(좇다) 인 → 훈음차 ; 조츨(좇을) 珍 : 옥돌 딘 → 훈음차 ; 돌(도랑) 島 : 셤 도 → 훈차 ; 셤 ∴ 因珍島 : 조츨돌셤 {현대어 : (외지인을) 쫓는 울돌 섬}
27) 전라북도 진안군 일대 : 백제 난진아현(難珍阿縣) → 어렵긔디나는골
전라북도 진안군 일대는 산악지대로 마이산과 마이산을 품은 수많은 산으로 이루어진 소위 「무진장」지역이다. 진안군 일대를 백제인은 「난진아현(難珍阿縣) → 어렵긔디나는골(현대어 : 어렵게 지나다니는 고을)」이라 작명하였다. 「진(珍)」은 대부분 「돌(도랑)」의 훈음차로 쓰였는데, 전라북도 진안군만은 「음차」로 쓰였다. 신라 경덕왕은 진안현(鎭安縣)으로 개칭했다. 어렵게 지나다닌다고 하니까 조금 비틀어 신라가 통일시켜 잘 지나다닌다고 했다.
㉠ 難 : 어려울(어렵다) 난 → 훈차 ; 어렵긔 珍阿 : 디나 → 음차 ; 디나( ∴ 難珍阿縣 : 어렵긔디나
㉡ 鎭安 : 딘안 → 음차 ; 디나 ∴ 鎭安縣 : 디나
28) 부여군 양화면 일대 : 백제 마산현(馬山縣) → 말뫼골
부여군 양화면 일대를 흐르는 내가 만든 지형은 「말 馬자 그림」이다. 말의 안면부를 빼어 닮았다. 이 그림을 본 백제는 「마산현(馬山縣) → 말뫼골」이라 작명했다. 이 마산현이 고려 성종때에는 한산현으로 개칭했다.「말벌」은 큰벌의 종류를 말하는데, 그 까닭은 「말」이 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고려가 한산현으로 개칭한 까닭도 「말」이 크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리 개칭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일부 지명학자들의 주장처럼, 「크다」는 뜻으로 마산(馬山)이라 작명한 것이 아니라, 「말머리 지형」이므로 「말뫼골」이라한 것이다.
29) 전라북도 장수군 일대 : 백제 우평현(雨坪縣) → 비두리골
전라북도 장수군 일대를 흐르는 금강 상류는 「새 모양의 그림」을 만들었는데, 백제인은 이 「새 모양의 그림」을 보고 「우평현(雨坪縣) → 비두리골」이라 작명하였다. 삼국시대는 살아남는자가 승자이던 시대였는데, 다소 낭만적인 「비오는 들판」이라는 지명은 어울리지 않는다. 금강 상류가 만든 장수군청 일대의 「새 모양의 그림」을 백제는 「비두리」라고 칭한 것이다.
雨 : 비 우 → 훈음차 ; 비 坪 : 두루(드르) 평 → 훈음차 ; 두루 ∴ 雨坪縣 : 비두루 → 비두리 (현대어 : 비둘기)
30)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일대 : 백제 오산현(烏山縣) → 가마괴뫼골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일대를 흐르는 무한천과 예산천이 어우러져 만든 지형은 「새 모양의 그림」인데, 이 그림을 본 백제인은 「오산현(烏山縣) → 가마괴뫼골」이라 작명하였다. 백제의 지명 중 「새 모양의 지형」을 기반으로 작명한 지명으로는 유일하게「훈차」로 이루어진 지명이 「가마괴」이다. 흥미로운 일이다.
烏 : 가마괴 오 → 훈차 ; 가마괴 山 : 뫼 산 → 훈차 ; 뫼 ∴ 烏山縣 : 가마괴뫼골 (현대어 : 까마귀산골)
31)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일대 : 고구려 술이홀현(述尒忽縣) → 수리忽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일대는 임진강과 그 지류가 만나서 「새 모양의 지형」을 만들었다. 이 「새 모양의 그림」을 본 고구려인은 「고구려 술이홀현(述尒忽縣) → 수리골」이라 작명하였다. 신라 경덕왕은 봉성현(峯城縣)으로 개칭했는데, 봉(峯)은 「수리」와 관련이 깊은 지명어이다.
述尒 : 술이 → 음차 ; 술이 → 수리 ∴ 述尒忽 : 수리忽 {현대어 : 수리골}
32) 황해북도 봉산군 일대 : 고구려 휴암군(鵂嵓郡) → 휴르새바회忽
황해북도 봉산군은 봉산 탈춤으로 유명한 곳이지만, 이 곳을 고려는 「봉주(鳳州) → 새골」이라 불렀다. 봉산군은 새와 관련된 지명인 것이다. 봉산군 일대를 흐르는 내(川)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봉산군이 만든 「지형이라는 그림」은 분명 새다. 고구려는 이 「새골」을 「휴암군(鵂嵓郡) → 휴르새바회골(현대어 : 수리부엉이고개골)」이라 작명했다. 고대어에 수리부엉이를 「휴르새」라고 불렀는데, 고구려는 일운 휴류성(鵂嵓城)이라 칭했는데, 「휴르」와「휴류」가 발음이 비슷하다.
㉠ 鵂 : 수리부헝 휴 → 훈차 : 수리부헝 嵓 : 바회 암 → 훈차 ; 바회 ∴ 鵂嵓郡 : 수이부헝바회 (현대어 : 수리부엉이 고개)
㉡ 鵂嵓 : 휴류 → 음차 : 휴류 → 휴르새 ∴ 鵂嵓城 : 휴르새忽 (현대어 : 수리부엉이골)
33)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일대 : 백제 진잉을군(進仍乙郡) → 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일대에 기사천과 봉황천이 만든 지형은 「새 그림」인데, 이 그림을 보고 백제인은 「진잉을군(進仍乙郡) → 나ㅿㅏ조츨새골 (현대어 : 나가서 쫓을 새골」로 작명 하였다. 예로부터 참새는 곡식을 축내는 해조였던 것이다. 전술했다시피 삼국의 지명어 중에 「因(인)」과「仍(잉)」의 현대의 훈은 「因(인)하다」인데, 삼국시대에는 이러한 한자가 섞인 언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因(인)」과「仍(잉)」의 훈은 「좇다」이다. 삼국중 백제는 「좇다」를 현대어「쫓다」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새 乙(을)」은 한국에만 있는 훈인데, 「乙」자가 「새(鳥)」를 달마 생긴 훈인데, 삼국시대부터 비롯된 것으로, 백제 진잉을군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進 : 나살 진 → 훈차 ; 나 仍 : 조츨 잉 → 훈음차 ; 조츨 乙 : 새을 → 훈차 ; 새 ∴ 進仍乙郡 : 나
34)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일대 : 신라 굴아화촌(屈阿火村) → 구븐믈가벌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일대는 신라가 경주시 지역을 막 벗어나기 시작하는 AD2~3세기에 신라가 공취(功取)한 곳인데, 「굴아화촌(屈阿火村) → 구븐믈가벌」이라 작명하였다. 범서읍 굴화리 일대는 태화강이 굽어 있기 때문에, 굽은 모습을 보고 작명한 것이다.
경덕왕은 울산광역시 일대를 하곡현(河曲縣) 일작 하서현(河西縣)이라고 개칭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오는 일운(一云)과 일작(一作)은 같은 의미인데, 「지형」이 둘이 있을 때에도 사용하고 있다. AD2~3세기의 촌단위의 지명은 자연적인 지명영인 것으로 추론하며, 「구븐믈」이나 「구븐벌」을 한자화한 것으로 보인다.
㉠ 屈 : 구블(굽을) 굴 → 훈차 ; 구븐 阿 : 믈가 아 → 훈차 ; 믈가 火 : 불 화 → 훈차 ; ∴ 屈阿火 : 구븐믈가
㉡ 河 : 믈(가람) 하 → 훈차 ; 믈(가람) 曲 : 그블(굽을) 곡 → 훈차 ; 구븐 縣 : 골 현 → 훈차 ; 골 ∴ 河曲縣 : 믈(가람)구븐골 (현대어 : 물굽은 고을)
㉢ 河 : 믈(가람) 하 → 훈차 ; 믈(가람) 西 : 셔 → 음차 ; 셔 또는 션 (기본형 : 셔다) 縣 : 골 현 → 훈차 ; 골 ∴ 河西縣 : 믈(가람)셔골. 또는 믈(가람)션골 ※ 울산광역시청앞 태화강이 일렬로 선 까닭에 붙은 이름이다.
35)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일대 : 신라 거지화현(居知火縣) → 살알벌{현대어 : 쌀알벌}
언양읍 일대는 태화강 중상류 지역인데, 태화강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논밭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고대에 태화강 주변의 논에서 벼농사를 많이 한 것으로 추정하는데, 그러한 상황이 지명에 남아 있다. 언양읍은 진한시대 굴아화촌이었던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와 이웃하고 있는 고을이다. 이 곳은 상당히 이른 시기에 신라에 병합된 곳인데, 신라는 거지화현(居知火縣)이라 했다.
언양 일대는 태화강이 만든 지형이 어떠한 「형상을 떠 올릴 그런 그림」이 눈에 띄지 않는 곳이지만, 태화강 주변에 논농사를 짓고 살고 있던 민초들의 모습이 지명으로 남았다.
居 : 살 거 → 훈음차 ; 살(米) 知 : 알 디 → 훈음차 ; 알(卵) 火 : 부 화 → 훈음차 ; ∴ 居知火 : 살알 ※ 현대에도 「쌀 米(미)」의 경상도 방언은 「살」이다.
「쌀 米」자 전서(篆書)
36)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일대 : 백제 물거현(勿居縣) → 믈살골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일대는 진안읍에서 무주군과 경계에 있는 고을이다. 용담면에서 유명한 곳은 용담호인데, 금강의 지류를 막아 담수호를 만들었다. 무주군과 진안군 사이에 있는 곳으로 백제 시대에는 교통이 여간 불편한 곳이 아니었을 것이다. 길은 좁고 험했을 것이고, 곳곳에 산재한 계류에는 맑은 물들이 넘쳤을 용담면 일대의 「그림」은, 「골짜기를 흐르는 센 물살」이었다.
㉠ 勿 : 믈 → 음차 ; 믈 居 : 살 거 → 훈음차 ; 살 ∴ 勿居縣 : 믈살골
㉡ 淸 : 말글(맑을) 쳥 → 훈차 ; 말근 渠 : 돌 거 → 훈차 ; 돌(현대어 : 도랑) ∴ 淸渠縣 : 말근돌골 (현대어 : 맑은 도랑골)
「믈 水」자 전서(篆書)
37)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일대 : 고구려 주연현(酒淵縣) : 술못골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일대에 「수리」와 관련된 봉우리나, 지형이 있는가를 면밀히 판독했으나. 「수리」와 관련된 것은 없었다. 결국 「술 酒(주)」와 관련된 지형이었다. 주천면 일대의 맑고 깨끗한 물로 술을 빗고 싶은 고구려 관리의 뜻을 담은 지명이다. 문제는 「酒(주)」의 고구려어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 문제점인데, 술천군(述川郡)이 그 실마리를 쥐고 있다. 고구려어는 신라어와 닮아도 너무 많이 닮았다.
㉠ 酒 : 술 쥬 → 훈차 ; 술 淵 : 못 연 → 훈차 ; 못 ∴ 酒淵縣 → 술못골
38)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능서면, 흥천면 일대 : 고구려 술천군(述川郡) : 술내 일운 성지매(省知買) : 살알매{현대어 : 쌀알물}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능서면, 흥천면 일대는 남한강이 남쪽을 흐르고, 여주 쌀로 유명세를 탄 곳이다. 여주시 백석리앞 남한강 한복판에는 모래섬이 있는데, 「쌀알」을 닮았다. 고구려는 이 「그림」을 보고, 「살알매(현대어 : 쌀알물)」이라고 하기도 하고, 「술내」라고 하기도 했다. 그 까닭은 「술」은 「쌀로 만든 물」이기 때문이다.
㉠ 省 : 살필(살피다) 성 → 훈음차 ; 살 知 : 알(알다) 디 → 훈음차 ; 알 買 : 매 → 음차 ; 매 省知買 : 살알매(현대어 : 쌀알물)
※ 고구려가 쌀(米)을 「살」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 1,500년 이전에 삼국은 「쌀(米)을 살」로 발음한 것으로 추정한다.
㉡ 述 : 술 → 음차 ; 술 川 : 내 쳔 → 훈차 ; 내 ∴ 述川 : 술내
※ 고구려의 酒(주)는 「술」로 발음했고, 「쌀」로 빚었음을 알 수 있다. 여주시 백석리 앞의 「쌀알섬」의 존재가 「省知買(성지매)」=「살알매{현대어 : 쌀알물}」=「술내」의 대응관계를 증명해 주고 있다.「지형과의 대응 관계」가 진정한 대응 관계이고, 고구려어와 신라어와의 커다란 차이점도 없다. 더욱이 한자의 훈과 음조차도 같지 않은가?
39) 경상북도 예천군 일대 : 신라 수주현(水酒郡) → 믈수리골
경상북도 예천군 일대는 예천군청 근처를 감돌아 흐르는 한천과 그 지류인 금곡천이 만나 만든 「그림」은 새를 연상하게 하는데, 이를 차악한 신라인은 「신라 수주군(水酒郡) → 믈수리골」이라 작명했다. 일부 지명학자는 수주현을 경덕왕이 예천군(醴泉郡)으로 개칭한 것을 가지고 「물」과「술」의 관계로 해석했다.
㉠ 水 : 믈 수 → 훈차 ; 믈 酒 : 술 쥬 → 훈음차 ; 술 → 수리 (술과 수리의 음이 비슷하다) ∴ 水酒郡 : 믈수리골
㉡ 醴 : 단술 예 → 훈음차 ; 술 → 수리 (술과 수리의 음이 비슷하다) 泉 : 샘 쳔 → 훈차 ; 샘 ∴ 醴泉郡 : 수리샘골
40)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일대 : 신라 솔이산현(率已山縣) →「수리뫼골」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일대를 흐르는 밀양강과 그 지천인 관하천이 만나서 이룬 「그림」은, 날렵한 새의 부리와 머리부분을 만들었다. 이 그림을 보고 신라인은 「솔이산현(率已山縣) → 수리뫼골」이라 작명하였다. 현재에도 곳곳에 「수리산」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率已 : 솔이 → 음차 ; 솔이 → 수리 {솔이와 수리가 음이 비슷하다.} 山 : 뫼 산 → 훈차 ; 뫼 ∴ 率已山縣 : 수리뫼골 {현대어 : 수리산골}
|
Copyright ⓒ pasteltone.com